Segment란? 비트는 조각. 즉 0과 1을 말합니다. 먼저 컴퓨터는 2진수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합니다. 16비트가 표현가능한 양의 정보는 0부터 최대 FFFFh(1111111111111111b, 65535)까지 총 65536가지입니다. 즉 2^16과 같습니다. 이것을 킬로단위로 나타내면 65536 / 1024 = 64kb(킬로비트)가 되는 것입니다. 세그먼트와 옵셋 : 세그먼트(Segment)는 사전적의미로 "부분"이라는 뜻입니다. 옵셋(Offset)은 "차감계산을 하다"라는 뜻이죠? 세그먼트는 메모리의 한 부분(최대 64KB크기)이고요. 옵셋은 그 세그먼트 내의 상대적 주소를 말합니다. 기준이 되는 세그먼트 주소값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예전에는 1M의 메모리 크기만 해도 크다고 생각해서 .. 더보기 텀 프로젝트 Picture Earth 3학년 1학기 텀 프로젝트로 진행한 picture earth 개요는 대충 이렇다. 구글 맵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전 세계를 자유롭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고 원하는 지역에 자신들이 찍은 사진들을 올릴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다른 사용자들이 얼마든지 자유롭게 그 사진들을 볼 수 있도록 구현하고 게시판 기능, 교통정보 기능등을 추가한다. 즉 맵+사진첩 개념인 어플리케이션이다. 전체적인 UI(User interface)는 이렇다. 실버라이트로 전체적인 ui를 만들고 맵 중앙에 asp.net과 연동해서 구글 맵 api를 이용해서 맵을 올렸다. 여기에 시간투자를 많이 했는데, 실버라이트와 asp.net 컨트롤을 한화면에 올리기가 생각보다 쉽지 않아서 고생을 했다. 여하튼 결국 올리고 z-index라는 깊이 값 변수.. 더보기 openGL 텀 최종 화면 우여곡절 끝에 순수 openGL로 구현한 그래픽스 텀이 끝이 났다. 이렇게 시간투자 많이하고 투자대비 효율 안나오고 고생한 텀은 처음이자 마지막이지 싶다. 그림은 다음과 같다. 수고한 조원들에게 무한 감사를. 덕현아 은미야 고생 많이 했다. 맨 위에 멋진 피닉스 두 컷은 일리히트 게임엔진에서 구현한 것이고 새는 3d max에서 수정하여 직접 import 한 모델이다. 그 뒤부터 다시 엎고 openGL로 새로 구현한 화면이다. 모델을 제외하고는 엔진이나 openGL 이나 그다지 차이를 느낄 수 없다. 다만 똑같은 아웃풋을 구현하기 위해 걸리는 시간이 두 세배 차이 날 뿐; 사용된 기술 배경 : skybox 기법 용암 일렁이게 하는 효과: 플레인 웨이브 새가 바닥에 비치도록 하는 효과 : 스텐실 버퍼 혜성 .. 더보기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 44 다음